중위소득 기준표 2025년 최신 정리

 


정부 복지제도와 각종 지원금의 기준이 되는 중위소득, 정확히 알고 계신가요?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가구원 수에 따라 세부 금액이 달라지며, 생계급여, 주거급여, 의료급여 등 거의 모든 복지 정책의 기준선 역할을 합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최신 중위소득 기준표와 함께, 활용 방법·주의사항·지원 연계 예시까지 총정리합니다.

 

1. 중위소득이란 무엇인가요?

중위소득은 모든 가구의 소득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정확히 중간에 해당하는 소득을 의미합니다. 정부는 매년 전년도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등을 반영해 기준 중위소득을 고시하고 있으며, 이 값은 복지·보건·교육·금융 정책의 핵심 기준이 됩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1인가구 2,196,000원으로, 전년도보다 약 4.5% 상승하였습니다.

2. 2025년 중위소득 기준표

가구원 수중위소득(월)중위소득 60%중위소득 120%
1인2,196,000원1,317,600원2,635,200원
2인3,656,000원2,193,600원4,387,200원
3인4,712,000원2,827,200원5,654,400원
4인5,745,000원3,447,000원6,894,000원
5인6,748,000원4,048,800원8,097,600원
6인7,703,000원4,621,800원9,243,600원

📌 60% 이하: 생계급여, 주거급여 기준
📌 100~120%: 긴급복지·에너지바우처·청년정책 기준

3. 중위소득 기준이 중요한 이유

중위소득은 단순 수치가 아니라, 복지 대상자의 경계선을 구분하는 중요한 기준입니다. 예를 들어, 생계급여는 중위소득의 30~50%, 긴급복지지원은 중위소득의 75~100%를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 기초생활수급자 인정 여부
  • 각종 지원금 지급 기준
  • 청년·신혼부부 주거 정책 대상 판단
  • 국공립 보육료·급식비 지원 여부

이처럼 중위소득을 정확히 아는 것만으로도 복지 자격 유무를 미리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활용 예시 – 내가 받을 수 있는 복지 체크

다음은 2025년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받을 수 있는 대표 복지 제도입니다:

제도명기준설명
생계급여중위소득 30% 이하현금 지급, 기초수급자 대상
주거급여중위소득 46% 이하임차료 일부 지원
에너지바우처중위소득 60% 이하전기·도시가스 요금 지원
긴급복지지원중위소득 75~100% 이하위기상황 시 단기 지원
청년월세지원중위소득 120% 이하월세 월 20만원 내외 지원

5. 자주 묻는 질문 Q&A

Q1. 소득이 불규칙해도 중위소득 기준이 적용되나요?
네. 최근 3~6개월 소득 평균 또는 세전 연소득으로 환산해 기준을 적용합니다.

Q2. 공무원, 직장인도 중위소득 기준에 포함되나요?
네. 누구나 가구원 수와 소득에 따라 해당 여부가 달라집니다. 직업과 무관합니다.

Q3. 건강보험료 기준으로 중위소득을 확인할 수 있나요?
네. 대부분 복지제도는 건강보험료 납부금액을 기준으로 소득 환산해 심사합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국민지원금 중복 혜택 조합! 지금 가능한 조합 총정리

2025년 고교 무상교육 신청 방법과 대상자 안내